불면증 약없이 극복하기 민간요법 4가지
건강하자. 아프지망고다들 불면증 겪어 보신적이 있으신가요??
불면증이란? 단어의 뜻은 간단하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증상 같은것이다.
잠자려고 누워서 눈을 감았는데 잠이 오지 않고, 애초에 잠을 청할수가 없다. 계속 억지로 잠들려고하면 반복적으로 깨어나고, 생각은 잠을 자야한다라고 생각하지만 오히려 그 생각이 잠에 들지 못하게 만든다. 그 이유에는 여러가지가 있다. 스트레스도 포함되고, 걱정되는 일, 처리하지 않은 일 등등 불안한 요소들이 있을때 불면증이 찾아온다.
이제부터 불면증을 물리쳐보자.
★ 불면증 약없이 극복하자.
1. 기상시간과 취침시간 규칙적 설계
전날 늦게 잤다고 그 다음날에 푹 늘어져서 자본적은 없나요?
사실 불면증의 가장 큰 원인은 규칙적이지 못함에 있습니다.
몸이 그 패턴을 이해하지 못하는거죠. 어떨때는 빨리잤다가 어떤때는 늦게 자고가 반복되면서..
몸은 이미 망가진 패턴대로 적응하고 있습니다.
억지로라도 기상시간과 취침시간을 맞춰보세요. 그럴수 없는 상황도 있겠지만, 최대한 맞춰주셔야 합니다.
그래야 몸이 일정한 패턴을 기억하고 그에 맞게 반응하면서 불면증을 물리쳐줄 것입니다.
2. 과도한 운동 No 꾸준한 운동은 좋습니다. 하지만 과도한 운동은 오히려 좋지 않습니다. 뭐든지 과하면 좋지 않다는 얘기입니다. 궂이 직업으로 과도한 운동을 해야하는 분이시라면 취침전에는 자제 하시는게 좋습니다. 열정적으로 땀흘리고 힘들게 운동딱 하고 씻고 자면 잠이 잘 올거라 생각하시는데, 인체는 또 안 그렇습니다. 긴장상태가 남아있는거죠. 그렇기 때문에 적어도 취침 3~4시간 전에는 과도한 운동보다는 가볍게 해주시는게 좋습니다. 그리고 잠에 들기 1~2시간전에 따뜻한 온수로 몸을 헹구어 주시면 잠에 잘 빠져들 수 있습니다. 3. 습도를 맞춰라. 습도를 일정하게 유지시켜주는데는 여러가지 방법이있죠. 가습기를 사용하는 방법도 있고, 자기전 머리맡에 세숫대야에 물을 받아서 가져다 놓는 방법도 있습니다. 또한 빨래를 널어놓은 건조대를 실내로 가져와서 습도를 유지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날씨가 춥거나, 춥지않아도 습도를 맞춰주지 않으면 실내가 건조해집니다. 그럼 입으로 호흡을 하는 구강호흡을 사용하게 됩니다. 구강호흡은 여러모로 좋지않은 질병들을 유발할 수도 있기때문에 습도 유지후에 코로 호흡해주세요. 밸런스있고 일정하게 코로 숨을 쉬다보면은 어느새 자신은 잠이 들어 있을 겁니다. 4. 잠들기전 스마트폰 자제 솔직히 잠들기전 뿐만아니라도 일상생활에서 전자파로 인해서 신체에 영향을 충분히 줍니다. 그렇기 때문에 스마트폰을 잠들기 전에도 자제하는게 맞긴 맞는 것입니다. 하지만 현대인에서는 안할 수가 없는 것이기 때문에. 잠들기 전 만이라도 스마트폰을 자제 해줍시다. 잠에 들기전에 방에 불을 켜놓고 자면 어떤 느낌이 들까요? 잠이 잘 안오죠?? 빛때문에 그렇습니다. 스마트폰 또한 같습니다. 빛과 전자파가 나와서 뇌를 자극하게 되죠. 그럼 자연스럽게 잠을 청하기가 어렵고, 수면을 방해하는 요소가 됩니다. 스마트폰 외에도 전자기기들이 다들 그런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옆사람과 대화를 한번 더 하는 습관을 기릅시다. 불면증을 약없이 극복하는 민간요법으로 4가지를 알아봤습니다. 사실 현대인들은 약에 너무 의존하고 있습니다. 약이면 뭐든지 다 해결할 수 있다는 신뢰를 가지고 있는 사람이 대부분입니다. 저는 약보다는 민간요법에 더욱 치중하고 있는 사람이구요... 여기저기 약에 대한 설명이 대부분이지만 민간요법이 가장 최고라고 생각합니다. 뭐든지 규칙적으로 움직이고 행동하면 몸이 거기에대해서 반응을 하기 시작합니다. 그럼 자연스럽게 증상들이 사라지고 병들도 고쳐지는 것입니다. 꾸준함이라는 무기를 사용할 줄 아셔야합니다. 불면증 탈출하고 건강합시다. 아프지망고
'건강하자. 아프지망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강박장애증상과 원인 해결하자 (0) | 2016.05.10 |
---|---|
방광염 증상 및 해결법 (0) | 2016.05.02 |
간수치 높은이유와 낮추는법 민간요법 (0) | 2016.04.29 |
폐활량 늘리는법 건강을 위해 실천 (0) | 2016.04.28 |
코피 멈추는 방법 잘못된 상식을 고쳐라. (0) | 2016.04.27 |